Once in a life time 이 뮤지컬이라고?

현대 금융은 부채(負債)의 결정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사람들은 은행에서 돈을 빌리는 데 너무나 익숙해져 있다. 미국의 뉴웨이브 밴드인 토킹 헤즈(The talking heads)는 ‘생(生)에 단 한번’(Once in a life time)이라는 뮤지컬에서 노래한다. “당신은 어떻게 그렇게 큰 자동차와 아름다운 집과 멋진 부인을 가졌습니까?” 답은 부채였다. 과거에는 숨겨야 할 것으로 여겨졌던 부채는 현대인들의 필수 생활 양식이 됐고, 근검보다는 낭비가 미덕이 됐다. 은행들도 한몫 했다. 투자자들을 상대로 대출을 늘려 온 은행은 금리 차이로 몸집을 키웠다.[[經-財 북리뷰] 익스트림 머니]

조선비즈에 실린 ‘익스트림머니’라는 사트야지트 다스의 신작의 리뷰다. 사트야지트 다스의 책은 전에 ‘파생상품, 드라마틱한 수익률의 세계’를 읽은 적이 있다. 풍부한 금융관련 지식에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와 같은 대중문화의 유머스러운 코드를 섞어 재밌게 책을 써내는 재주가 있던 작가로 기억하고 있다.

각설하고 저 리뷰는 우리나라 기자가 썼는데도, 리뷰에 국내에서 그리 인지도가 높지 않은 Talking Heads를 언급하고 있어 나름 신선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다만 작은 문제가 하나 있는데 Once in a life time은 뮤지컬이 아니고 싱글곡이란 점이다. 내가 아는 바 그 이름의 뮤지컬도 없고, 물론 토킹헤즈가 출연한 적도 없다.

결국 기자는 토킹헤즈를 모르고, 그 노래도 모르고, 그 뮤지컬(!)도 모르는 것 같다. 그런데 왜 뜬금없이 기자는 그 노래를 언급한 것일까? 답은 사트야지트 다스가 그의 책에서 그 노래를 언급하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아마도 출판사는 보도자료에 이 사실을 언급했을지도 모르고 기자는 그것을 보고 기사를 쓰며 베꼈을지도 모른다.

extreme money could only beget a financial crisis
혹시 이 문장 때문에 뮤지컬이라고 생각했다면 기자 바보~(출처)
 

오늘의 교훈 : 모르면 함부로 베끼지 말자.

비디오 보기

폴 스미쓰의 토킹헤즈 티셔츠 컬렉션

영국 디자이너 Paul Smith가 Talking Heads의 앨범 커버들을 기초로 하는 네 장의 티셔츠 캡슐 컬렉션을 런칭했다. 스미쓰는 밴드의 물건 들 중에서 David Byrne의 물건들, 백스테이지 입장권, 사진, 스토리보드, Byrne의 오리지널 작업들 등에서 영감을 받았다. 밴드의 팬으로써 스미쓰는 이 소중한 수집품에서 네 장의 티셔츠를 창조해냈다. 한 장은 공연 입장권 시리즈, 또 하나는 Byrne의 빅수트 스케치, 그리고 두 장은 앨범 “Remain in Light”과 싱글앨범 “Road to Nowhere”의 커버들을 그린 것이다. 이 컬렉션은 그들의 웹사이트에서 65파운드에 팔리고 있다. 다만 11월 4일 뉴욕에 있는 5번가 부티크에서 Byrne을 초청객으로 모셔서 공식발표회를 가질 예정이다. [from]

모두가 스스로 음악을 만들던 시대

Byrne은 아마츄어리즘의 주창자이다. “누구나 거실에서 음악을 만들고 전문가가 만든 음악 따위는 아무도 소비하지 않던 시대가 있었습니다. 모두 당신과 당신 친구들이 만들었었죠.”
Byrne is an advocate of amateurism. “There was an earlier period when everyone made music in the parlour and nobody consumed music that was made by professionals. It was all made by yourself and your friends.”

[출처]

David Byrne의 How Music Works에 관한 리뷰 중에서

Recorded music used to be made to be played at home, but is now increasingly designed to be heard over headphones and in noisy environments. That changes the way music is recorded and mixed. Everything is interrelated.

녹음된 음악은 집에서 연주되는 것을 가정하고 만들었다. 그러나 이제는 점차 헤드폰으로 듣거나 더 시끄러운 환경에서 듣는 것을 가정하고 꾸며진다. 그러한 것이 음악을 녹음하고 믹스하는 방식을 바꾸었다. 모든 것이 상호관련이 있다.

[리뷰 전문 보기]

신문들의 How Music Works 리뷰에서 발견한 재밌는 사실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두 경제신문 The Wall Street Journal과 The Economist가 David Byrne의 새 책 How Music Works의 리뷰를 기사로 냈다. 흥미로운 것은 두 신문 모두 기사제목을 Talking Heads의 노래 가사에서 차용했다는 점. 그것도 둘 다 Once In A Lifetime. 이 노래가사는 음미하면 음미할수록 그 안에 담겨져 있는 유머감각이 돋보이는지라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일 것 같다.

Making music- Same as it ever was - The Economist
기사 보기

Book Review- How Music Works - WSJ.com
기사 보기

True Stories 는 어떻게 영화화되었는가?

David Byrne이 감독한 True Stories에 대한 장문의 리뷰 중 일부다.

“그는 스스로를 감독이 아닌 비주얼아티스트라고 생각했어요.” 영화에서 작은 역을 맡았던 오스틴의 아티스트 베일 알렌의 이야기다. 영화 대본은 문자 그대로 일종의 예술작품 한 개로부터 시작했다. Talking Heads와 함께 공연을 다니던 1983년에 Byrne은 이제는 없어진 선정적인 타블로이드 Weekly World News의 기사들을 잘라 모으기 시작했다. 그는 나중에 이들 모음기사를 바탕으로 그림들을 그렸고 이들 그림을 커다란 벽의 콜라주에 글들과 함께 배열하였다. 텍사스의 멕시코로부터의 독립 150주년을 맞이하여 타블로이드의 캐릭터들을 서로 연결시키겠다는 아이디어는 Steven Tobolowsky와 Beth Henley의 영화대본에 대한 초안에서 Byrne이 가지고 있던 요소들의 하나였을 뿐이다. 스코틀랜드에서 태어나고 발티모어에서 자란 Byrne은 론스타 주(텍사스를 말함 : 역자주)에 대한 개인적인 연고는 없었지만 150년 축재는 도시계획, 자연의 역사, 기술, 심리학, 그리고 미디어 등으로 마음대로 뻗쳐나가기 위한 한 편리한 미끼이기는 했다.[So Much Specialness]